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외교안보국제부 조아라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. 대통령실이 얘기한 감내하기 어려운 조치는 뭘까요? <br> <br>가장 강력한 조치, 대북 확성기 재개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사실상 재개를 위한 절차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대북확성기 방송을 금지한 9·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절차만 남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> <br>모레 국무회의에서 의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속전속결로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에 대한 대응에 나서겠다는 것입니다. <br> <br>지난달 28일부터 사흘 연속 이어진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, GPS 전파 교란 공격, 탄도미사일 발사에 정부가 직접 나서 경고를 했지만, 북한이 또 다시 도발로 답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구병삼 / 통일부 대변인(지난달 31일)] <br>"북한이 이를 멈추지 않는다면, 정부는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모든 조치들을 취해 나갈 것이며…" <br> <br>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"북한에 경고를 했고 분명히 시간을 줬는데 바로 도발로 답이 온 것"이라며 "우리도 굳이 시간을 끌 생각은 없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대북 확성기 외에도 북한이 민감해하는 심리전인 정부 차원의 대북 전단 살포도 '감내하기 어려운 조치'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북한의 심리전 도발에 심리전으로 대응하는 이른바 강 대 강 맞대응 전략을 바꿀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겁니다. <br> <br>Q. 대북 확성기는 6년 동안 가동이 안 됐는데 바로 재개할 수 있는 겁니까? <br> <br>저희 채널A가 취재한 결과, 군도 이미 대북확성기 재개를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4월 남북 판문점 회담을 계기로 대북 확성기가 철거됐었는데요. <br> <br>기동형은 언제든 빠르게 설치가 가능하고 고정식도 기존에 설치됐던 지역 인근에 잘 보관돼 있다는 게 군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Q. 대북 확성기는 그동안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었잖아요? 그만큼 효과적인 대북 심리전이라는 의미겠어요? <br> 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대북 확성기 방송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, 남북 군사합의를 통해 중단됐는데요. <br> <br>이명박·정부 당시 천안함 폭침, 박근혜 정부 당시 목함지뢰 도발과 4차 핵실험이 재개되면서 일시적으로 대북확성기를 꺼내든 바 있습니다.<br> <br>남북 접촉이 있을 때 중단이 됐다가, 긴장이 고조됐을 때 재개되는 걸 보면 북한이 그정도로 민감하다는 의미죠. <br> <br>Q. 대북확성기 효과가 어떻길래 북한이 그동안 반발했던 건가요? <br> <br>대북확성기는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대북 심리전 수단으로 꼽히죠. <br> <br>확성기 철거 직전까지 고정식과 기동형, 40여대가 군사 분계선 인근에 배치됐었는데, 이 확성기에는 고출력 스피커가 있습니다. <br> <br>밤에는 최대 30km 안팎 전방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> <br>여기에는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과 한국 가요 등이 방송됩니다. <br> <br>직접 들어보실까요. <br> <br>[2016년 7월 대북확성기 방송] <br>"팥빙수 팥빙수 여름엔 이게 왔다야~ 빙수야 팥빙수야 사랑해 사랑해~"<br> <br>과거 기상정보도 전달되곤 했는데요. <br> <br>일기예보를 맞추는 한국의 기술을 강조해, 체제 우월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죠. <br> <br>체제 단속과 사상 통제를 강화하는 김정은 입장에서는 민감할 수밖에 없는 거죠. <br> <br>Q. 북한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까요? <br> <br>북한의 군사적 도발까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2014년 연천 고사총 사격과 2015년 서부전선 포격 2020년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모두,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와 확성기 방송을 핑계로 일으킨 도발 사건입니다. <br> <br>그만큼 북한이 우리의 심리전에 취약한 상태라는 방증으로도 볼 수 있는데, 양측의 군사적 긴장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